본문으로 바로가기

아동심리검사의 유형(2)-투사적 검사 Projective Test


투사적 검사의 목적은?

   아동 개인의 톡특성을 추정하기 위한 것이다.

   아래의 그림은 투사적 검사의 중요성을 충분히 설명해준다.

투사적 검사의 방법은?

   개인의 다양성을 측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간단한 지시 방법을 사용한다. 

   개인마다 다른 반응을 할 수 있도록, 검사 자극자체도 명확하지 않으며 모호한 것이 특징적이다.

   단점으로는 객관적 검사와는 달리 신뢰도, 타당도 검증이 비객관적인 것이다.




1. 로르샤흐 검사 


Hermann Rorschach(1921, 스위스)가 개발한 투사적 심리검사 도구이다.


검사 도구의 기본 가정은 행동은 개인의 지각 분석의 입장에서 예측 가능하다는 것이다.

임상 실제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 투사적 검사이다.

로르샤흐 검사의 강점은 개인의 성격에 대한 종합적이고 다각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대인관계, 자기상, 정서, 인지 등)

하지만, 검사 실시나 해석의 과정에서 임상가의 주관성이 검사 결과의 변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편향의 개입으로 검사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며, 해석한 전문가간 의사소통의 불일치가 충분히 있을 수 있다는 것이 문제점이 된다.

J. Exner는 1961년, 검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경험적으로 검증된 부분들만 종합하여 신뢰도와 타당도 높은 통합체계 발전에 힘썼다.

그 결과 개발된 '로르샤흐 종합체계 The Rorschach: A Comprehensive System'는 현재 가장 표준화된 체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구의 구성

총 10장의 카드가 제시된다.

흑백카드(5장), 흑백+붉은색 혼합(2장), 여러 색의 혼합(3장)으로 구성된다.


2. 주제 통각 검사 TAT : Thematic Apperception Test

로르샤흐와 함께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하고 있는 대표적인 투사적 심리검사 도구이다.

명확하지 않는 대상을 지각하는 과정을 통해 개인의 심리적 독특성을 파악한다는 이론적 입장이 로르샤흐와 동일하다.


[로르샤흐 검사와의 차이점]

검사의 측면

  - 로르샤흐 검사는 무의식적 원초아의 욕구와 환상을 주로 도출시킨다.

  - TAT는 대인관계상의 역동적 측면을 파악하기에 유용하다.

제시되는 자극

  - 로르샤흐 검사는 대칭적인 잉크반점-추상적 자극-을 제시한다.

  - TAT는 사람이 등장하는 모호한 내용의 그림자극을 제시한다 <-- 이 과정에서 개인의 경험, 욕구, 상상, 갈등 등이 투사되는데 성격의 특징, 발달적 배경, 환경 상호관계 방식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


도구의 구성

30개의 흑백그림, 1개의 백지카드로 구성되어있다.

그림의 제시순서(#), 적용 대상자의 연령수준(G)과 성별(F/M)이 카드에 명시되어있다.


3. 아동용 주제 통각 검사 CAT : Children Apperception Test

Bellak(1949)가 개발한 아동용 투사적 심리검사 도구이다.

검사 대상자의 연령은 만 3세 ~ 10세이다.

검사를 개발한 Bellak의 가정은, 과거의 경험이 현재의 지각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투사 과정을 통각적 왜곡(apperceptive distortion)이라는 말로 기술하려 하였다.


Bellak은 투사적 반응에는 자아의 역할이 작용한다고 주장한다. 상상의 세계로 들어갈 수 있을 만큼 자아가 통제를 완화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현실과의 접촉을 잃지 않도록 자아가 충분히 견고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무의식적 충동과 그를 통제하는 힘의 균형 상태를 분석하는 것은 해석상 매우 중요한 측면이다. 이런 분석에는 실생활 속에서의 아동의 정보를 꼭 참고하는 것이 요구된다.


CAT은 동물을 자극으로 사용하였다. 그 이론적 가정은, 아동이 성인보다 동물에 대해 동일시되기 쉽기 때문에 아동의 심리적 내용이 투사 된다는 것이다.

[(사람 자극보다)동물 자극 사용의 이점]

- 검사 목적을 위장할 수 있다.

- 공격적/부정적 감정들은 인간 상보다는 동물 자극에 더 쉽게 전이될 수 있다.

- 문화적 영향이 사람 자극 보다 적다.

- 동물은 성과, 연령을 명확히 나타내지 않는다. 이는 아동이 자극물의 성과 연령을 자신의 동기에 의해 직접 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검사 도판의 유형

1) CAT(표준판)

- 1949년 제작(9장 구성)

- 대상: 만 3세 ~10세

- 목적: 정상 발달상의 관심/갈등 등의 기본적 문제를 다룬다.

- 측정 관계 특징: 부모와 성인들과의심리적 관계를 묘사한다.

2) CAT-S(보충판): 1952년 제작(9장 구성)

- 어린 아동, 정신연령 5-6세 이하의 지적장애 아동

- 목적: 특수한 문제 장면에 대한 아동의 반응/현재의 긴장을 알아본다. 비공통적, 특이적 문제를 다룬다. 도판은 아동의 문제 성질에 따라 택하여 실시한다.

- 측정 관계 특징: 친구나 형제 관계를 묘사한다.


4. 그림검사

1) 집-나무-사람 검사 HTP : House-Tree-Person Test

Buck(1948)과 Buck & Hammer(1969)가 개발한 투사적 심리검사 도구이다.

(인물화검사(DAP)보다 유용하다고)


[집-나무-사람을 사용한 이유(Buck)]

- 누구에게나 친밀감을 준다.

- 모든 연령이 세 요소의 그림을 쉽게 받아들인다.

- 자연스러운 솔직한 언어표현을 측정할 수 있는 자극이다.


대상: 유아~성인 모두를 대상으로 한다.

검사자와 피검사자 간의 라포형성을 쉽게 형성할 수 있도록 도우며, 시행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BGT 기질적 장애, 지능수준에 대한 대략적 평가가 가능하다.

정서상태, 발달 수준을 가늠할 수 있기에 치료/교육 계획 수립에 도움을 제공한다.


해석의 초점 요소

- 구조적/표현적 요소

- 내용적 요소: 그림의 전체적 모습과 질문에 대한 답을 포함하여 해석한다.


2) 동적 가족화 검사 KFD: Kinetic Family Drawing

가족 구성원들 내의 힘의 분포, 친밀/단절 등의 가족 내의 역동성을 그림을 통해 측정한다.

아동의 가족 구성원 개개인에 대한 내적인 상이 시작적으로 표현되는 검사이다.

(부정적 영향을 주는 인물, 영향력이 큰 인물에 대한 아동의 감정이 드러난다.)


해석의 초점 요소: 상징, 역동성, 인물상의 특징, 인물의 활동 모습


5. 도형 모형 검사 BGT : Bender-Gestalt Test

Schilder와 Wertheimer의 연구에서 시작되어 만들어진 투사적 심리검사 도구이다.

Schilder는 형태 인식과 성격의 내적 관계를 연구한 형태주의 심리학자이다(독일).

BGT는 성격진단검사로 주목받지 못했었다. 2차 대전 발발 후 다양한 배경에서 징집 군인들에 대한 진단이 필요했을 때, 이 검사를 통해 진단 및 치료계획을 세우는 것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BGT 사용이 증가했다.


목적

1) 기질성 장애(Organic Brain Syndrome)를 판별한다.

뇌손상 여부 판단이 BGT의 가장 큰 목적이다.

BGT 채점 후, OBS(기질성 장애)의 80~85%를 정확히 진단할 수 있다.

2)성격을 진단한다.

현실 검증력, 충동성, 정서적 특징 같은 개인의 성격적 부분들을 파악한다.

3)투사적 목적: 검사에서 제시되는 도형을 피검사자 나름의 상징적 방법으로 지각한다는 가정이 연구를 통해 확인 되었다(Suczek & Klofer, 1952).


도구의 구성

[도형A, 도형1~8]로 한 장에 각각 1개의 도형을 담은 총 9장의 카드로 구성된다. 카드의 크기는 11X10cm이다.


6. 문장 완성 검사 SCT : Sentence Completion Test

단어연상 검사에서 변형되어 발전된 투사적 심리검사 도구이다.

미완성된 문장을 피검사자가 자신의 생각대로 완성하도록 한다.


문장의 형식적 특징들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뉘앙스의 차이, 다른 문항에 비해 표현된 문장의 분량 차이, 수사법, 표현의 정확성, 모호함, 반응시간, 수정된 부분


문장에는 미묘한 특징들이 투사 될 수 있다.

- 표현된 정서의 강도, 억압된 정도, 수동적/능동적 태도, 대상에 대한 정서적 개입의 정도, 정서의 내용


반응의 영역은 다음과 같다.

- 자기상, 신체관계, 가족관계, 교우관계, 직장관계, 일반적 대인관계, 학교관계, 감정, 일상생활태도




박영숙 (1993). 심리평가의 실제. 하나의학사.

신민섭 외 (2004). 그림을 통한 아동의 진단과 이해. 학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