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루·요루장애 판정기준
장애진단기관 및 전문의
의료기관의 외과·산부인과·비뇨기과 또는 내과 전문의
진료기록의 확인
장애진단을 하는 전문의는 원인 질환 등에 관하여 충분히 치료한 후에도 장애가 고착(복원수술이 가능한 경우 1년 이상 경과)되었음을 장루조성술시
수술기록지, 병리소견서, 진단서, 진료기록 등으로 확인하여야 한다.(필요시 환자에게 타병원 진료기록 등을 제출하게 한다.)
장애진단 및 재판정 시기
(1) 복원수술이 불가능한 장루(복회음절제술후 에스결장루, 전대장직장절제술후 시행한 말단형 회장루 등)·요루(요관피부루, 회장도관 등)의 경우에는 장루(요루) 조성술 이후 진단이 가능하며, 그 외 복원수술이 가능한 장루(요루)의 경우에는 장루(요루) 조성술 후 1년이 지난 시점에서 장애를 진단한다.
- 진단의는 복원수술 가능여부를 장애진단서에 기재하여야 한다.
(2) 수술 또는 치료로 기능이 회복될 수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장애진단을 처치 후로 유보하여야 한다. 다만, 1년 이내에 국내 여건상 그 수술이 쉽게 행하여지지 아니하는 경우와 장애인의 건강상태 등으로 인하여 수술 등을 하지 못하는 경우는 예외로 할 수 있다.
(3) 복원수술이 가능한 장루(요루)의 경우에는 최초 판정일로부터 3년 이후의 일정한 시기를 정하여 재판정을 하여야 하며, 재판정 시에 복원수술을 시행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다시 재판정일로부터 3년 이후의 일정한 시기를 정하여 재판정을 하여야 한다. 다만, 복원수술이 불가능한 장루(요루) 등 장애의 상태가 고착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재판정을 제외할 수 있다.
판정 개요
(1) 배변이나 배뇨를 위하여 복부에 인위적으로 조성된 구멍(장루 또는 요루)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 장루·요루 장애로 진단한다.
(2) 요루는 회장도관, 요관피부루, 경피적 신루를 포함한다.
(3) 2급에 해당하는 말단 공장루는 소장의 2/3이상 절제한 경우에 판정한다.
(4) 합병증의 평가
(가) 배뇨기능장애는 간헐적 도뇨 등이 필요한 경우를 말하며, 요역동학검사 등 신경학적 검사 소견과 진료기록 및 의사의 소견으로 확인하여야 한다. 전립선비대증 등 타과적 질환으로 인한 배뇨장애나 노화로 인한 뇨실금, 신경인성방광 등 원발성 배뇨장애는 장루(요루)장애의 합병증으로 인정하지 아니한다.
(나) 장피누공(방광질누공, 직장질누공, 요관질누공 포함 등)은 방사선 등에 의한 손상으로 장루 이외의 구멍으로부터 장 내용물이 지속적으로 흘러나오며 수술 등에 의해서도 치유될 가능성이 없는 경우를 말하며 사진 및 방사선검사결과지 등의 객관적 자료로 확인하여야 한다.
장애등급기준
※ 선행성 관장루를 시행한 경우 5급으로 준용한다.
※ 코크파우치, 미트라파노프 수술을 시행한 경우 4급으로 준용한다.
※ 단, 선행성 관장루를 가지고 있고 코크파우치 또는 미트라파노프 수술을 시행한 경우 4급으로 준용한다.
- [보건복지부고시 제2015-188호, 2015.11.4., 일부개정] [본문으로]
'ㆍ 전공 > 장애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애인복지법] 소아청소년 뇌전증장애: 진단, 등급(영아연축, 발작 등) (0) | 2016.12.13 |
---|---|
[장애인복지법] 성인 뇌전증장애 판정기준: 진단, 등급 (0) | 2016.12.13 |
[장애인복지법] 안면장애 판정 기준, 진단, 등급 (1) | 2016.12.10 |
[장애인복지법] 간장애 판정기준, 등급, 합병증 (0) | 2016.12.08 |
[장애인복지법] 호흡기장애 판정기준, 등급 (0) | 2016.12.08 |